수어로 이름을 표현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얼굴 이름(고유 이름 수어) 만들기
농인(청각장애인) 사회에서는 이름을 보다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얼굴 이름”(이름 수어)을 사용합니다.
이는 단순히 글자를 손가락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특징을 반영한 고유한 이름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얼굴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 개인의 특징 반영
• 직업, 취미, 외모, 성격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됩니다.
• 예를 들어, ‘민수’라는 사람이 안경을 자주 쓰면, 안경을 나타내는 수어와 ‘민수’의 지화 일부를 조합하여 얼굴 이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성별 표지 사용 (한국수어의 특징)
• 한국수어에서는 성별을 함께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남성은 엄지손가락, 여성은 새끼손가락을 활용하여 얼굴 이름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 하지만 꼭 성별 표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이름
• 얼굴 이름은 본인이 직접 정하는 것이 아니라, 농인들과 함께 어울리며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즉, 타인이 본인의 특징을 반영하여 지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얼굴 이름, 더 재미있게 알아볼까요?
아래 영상에서 얼굴 이름(이름 수어)에 대한 재미있는 설명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영상 보기
💡 Tip! 얼굴 이름 = 이름 수어 = 수어 이름
다 같은 의미이며, 어떤 용어를 쓰느냐보다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
수어에서 이름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은 **손가락글자(지화, 指話)**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지화는 한글의 각 글자를 손 모양으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이름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1. 지화로 이름을 표현하는 방법
✔ 한 글자씩 손가락 모양으로 표현
• 한국 수어에는 한글을 손으로 나타내는 **지화(指話)**가 있습니다.
• 이름을 소개할 때, 각 글자를 지화로 순서대로 표현하면 됩니다.
✔ 예시: ‘민수’라는 이름의 경우
• ‘ㅁ’, ‘ㅣ’, ‘ㄴ’, ‘ㅅ’, ‘ㅜ’의 지화를 차례대로 사용하여 이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이처럼 한 글자씩 지화로 나타내면, 상대방이 정확한 이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지화의 사용 시기
• 지화만으로 이름을 표현하면 시간이 걸리므로,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습니다.
• 그러나 처음 만나는 사이에 자기소개를 할 때 주로 활용됩니다.
•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얼굴 이름(이름 수어)이 만들어져 사용될 수 있습니다.
⸻
2. 지화 연습 영상 추천!
지화를 배우고 연습할 수 있도록, 아래 영상을 추천해 드립니다.
▶영상 보기
이 영상을 보면서 직접따라 해 보세요! 😊
⸻
수어로 이름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얼굴 이름(이름 수어)과 지화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방식이지만, 이름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핵심!
실제 농인들과의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해 보세요.
이제 여러분도 자신의 이름을 수어로 표현할 수 있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