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어 문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국립국어원의 『한국수어 문법』을 바탕으로 정리한 수어 문법 가이드)

⸻
📌 수어에도 문법이 있다?
수어는 단순히 손으로 한국어를 표현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국수어는 독립적인 문법 체계를 가진 하나의 언어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수어는 그냥 손짓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음성언어와 마찬가지로 수어도 문법적인 규칙이 존재하며, 한국어와는 다른 어순과 표현 방식이 있습니다.
오늘은 **국립국어원의 『한국수어 문법』**을 바탕으로 한국수어의 문법을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 한국수어 문법, 어떻게 구성될까?
『한국수어 문법』에서는 한국수어의 문법을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 수어와 수어학 (언어적 특성)
✔ 음운론 (손 모양, 위치, 움직임 등)
✔ 형태론 (단어 형성 방식)
✔ 통사론 (문장 구조)
✔ 의미론 (어휘와 의미 변화)
그럼 하나씩 쉽게 살펴볼까요? 😊
⸻
1️⃣ 수어는 ‘언어’입니다! (수어와 수어학)
우리가 말하는 한국어처럼, 수어도 언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 한국수어의 특징
✔ 공간을 활용한다 → 손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 동작이 동시에 일어난다 → 손 모양과 표정이 함께 의미를 전달함
✔ 비수지 기호가 중요하다 → 얼굴 표정, 눈썹 움직임 등이 문법 역할을 함
✔ 도상성을 가진다 → 단어가 실제 개념과 유사한 모습을 나타냄
📌 예시:
• **“전화”**라는 수어는 전화기를 드는 손 모양과 비슷해요!
• **“비행기”**도 비행기가 나는 모습을 손으로 표현하죠.
하지만!
모든 수어가 이렇게 직관적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교사”**라는 수어는 과거 교사들의 제복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모양만 보고 의미를 알기 어려울 수도 있어요.
⸻
2️⃣ 손 모양, 위치, 방향도 문법이 된다! (음운론)
수어에서 소리 대신 중요한 요소는 바로 손의 움직임입니다.
이를 **수어의 최소 단위(수어소, chereme)**라고 해요.
📌 수어를 구성하는 4가지 요소
1️⃣ 수형 (손 모양): 손가락이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져요.
2️⃣ 수위 (손의 위치): 손이 얼굴 근처에 있느냐, 가슴 앞에 있느냐에 따라 차이가 생겨요.
3️⃣ 수향 (손의 방향): 손바닥이 위를 향하느냐, 아래를 향하느냐도 중요해요.
4️⃣ 수동 (손의 움직임): 손을 한 방향으로 움직이느냐, 반복하느냐에 따라 뜻이 변해요.
📌 예시:
• **“아빠”**는 엄지, 검지 손가락을 사용하며 이 때 엄지는 ‘남자’를 나타냄
• **“엄마”**는 엄지, 새끼 손가락을 사용하며 이 때 새끼는 ‘여자’를 나타냄
비슷해 보이는 손 모양, 위치, 동작이라도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다는 점!
⸻
3️⃣ 수어 단어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형태론)
수어에서도 단어가 만들어지는 방식이 있어요.
💡 단어 형성 방식
✔ 단순어 → 하나의 단어로 구성됨 (예: “학교”, “집”)
✔ 합성어 → 두 개의 단어가 합쳐짐 (예: “등산” = “산” + “오르다”)
또한, 손의 움직임을 반복하거나 강하게 하면 강조 표현이 됩니다.
📌 예시:
• “~한 적 있다” → 반복하면 “자주 했었다”
• “단단하다”→ 강하게 하면 “매우 단단하다”
⸻
4️⃣ 한국어와 다른 수어 문장 구조! (통사론)
한국어와 수어는 문장 어순이 다릅니다.
📌 예시 비교
한국어 - 한국수어 표현 방식
너 누구 만났어? “너 만나다 누구?” (SVO 구조)
너 밥 먹었어? “밥 먹다?” (+ 의문문 표정)
문장의 끝에서 표정을 바꾸면 문장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의문문을 만들 때 → 눈썹을 올리고 고개를 살짝 내리며 질문하는 표정을 함께 사용
⸻
5️⃣ 수어의 뜻은 어떻게 변할까? (의미론)
수어에서도 의미가 변화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 한국수어 의미론의 특징
✔ 어휘 간의 관계 (동의어, 반의어, 상하관계)
✔ 도상성과 의미 변화 (처음엔 직관적이었으나 변형됨)
✔ 역할 전환 (Role Shift) → 몸이나 고개의 방향을 바꿔가며 대화 전달
📌 예시:
• “엄마가 밥먹으라고 말했어”
→ 한쪽 방향을 보고 “엄마”라고 표현 후, 반대쪽으로 방향을 틀어 “밥 먹어!“라고 표현
• “들어가다”
→ 손이 움직이는 방향을 반대로 하면 “들어오다”
⸻
✅ 마무리 – 수어는 완전한 하나의 언어입니다!
한국수어는 단순한 손짓이 아니라, 문법적으로 완성된 독립적인 언어입니다.
✔ 어순이 다르고
✔ 공간을 활용하며
✔ 손의 모양과 움직임, 표정이나 몸의 움직임 등이 문법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앞으로 수어를 배울 때, 단순한 단어 암기가 아니라 문법적인 특성도 함께 이해하면 더욱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 💬 혹시 한국수어 문법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나요?
댓글로 질문을 남겨주시면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볼게요! 😊
⸻
#농인 #한국수어 #수어문법 #수어배우기 #한국수어법 #수어독학 #국립국어원 #문화체육관광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