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 통역과 실시간 자막, 어떤 차이가 있을까? – 화면 속 두 가지 소통 방식의 역할
수어 통역과 실시간 자막, 어떤 차이가 있을까? – 화면 속 두 가지 소통 방식의 역할TV를 보다 보면 자막도 나오고, 화면 한쪽에 수어 통역사도 보이는 경우가 있어요.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둘은 완전히 다른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수어 통역과 실시간 자막의 차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실시간 자막이란?✔️ 자막은 음성 언어(말)를 문자로 변환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방송이나 영상 콘텐츠에서 제공되며, 청각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시청자에게 유용하죠.✔️ 주로 방송사의 편집 과정에서 사전 제작된 콘텐츠에 삽입되기도 하고, 실시간 자막 시스템을 통해 생중계에도 활용됩니다.✔️ 방송 뉴스, 드라마, 예능뿐 아니라, 학교 수업, 강의실, 세미나 등에서도 실시간 자막이..
2025. 3. 28.
수어 표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신조어, 전문용어, 시대의 변화 속 수어의 진화
수어 표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신조어, 전문용어, 시대의 변화 속 수어의 진화우리는 매일 새로운 말을 접하며 살아갑니다. “유튜브”, “인싸”, “스마트폰”, “AI” 등 시대에 따라 언어는 계속해서 진화하죠. 그런데 수어는 어떨까요? 수어도 새로운 개념과 단어가 생기면 그에 맞춰 새로운 표현이 만들어질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습니다. 수어도 살아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단어가 생기면 수어는 어떻게 만들까요?✔️ 의미 기반으로 표현을 만들어요수어는 소리 중심의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철자나 음절을 따서 표현을 만들지 않아요. 대신 해당 단어가 가진 의미나 특징, 이미지를 바탕으로 손 모양과 동작을 정합니다.✔️ 형상화하거나 동작화..
2025. 3. 25.
농문화란 무엇인가요? – 수어 너머의 ‘문화’ 이야기
⸻농문화란 무엇인가요? – 수어 너머의 ‘문화’ 이야기우리가 ‘문화’라고 하면, 특정 집단의 삶의 방식, 가치관, 언어, 예술, 전통 등을 떠올리죠. **농문화(Deaf Culture)**도 마찬가지예요. 단순히 ‘농인의 모임’이 아니라, 공통된 언어(수어), 경험, 역사, 관점을 공유하는 하나의 문화 공동체를 말합니다.⸻✅ 농문화의 핵심 – ‘수어는 언어이자 정체성’농문화를 이해하려면, 먼저 수어가 단순한 소통 수단이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해요. 농인에게 수어는 그들의 정체성과 밀접하게 연결된 언어예요.✔️ 수어는 농인의 제1언어이자 삶의 방식입니다.✔️ 말소리를 듣고 따라하는 음성 언어 중심의 사회에서, 수어는 시각적인 세상을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수어를 통해 농인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정확하게 ..
2025.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