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4 농인의 유머 농인은 웃지 않을 것 같다는 편견, 혹시 있지 않으셨나요? 사실은 정반대입니다. 농인 사회는 유쾌하고 재치 넘치는 유머 문화로 가득합니다.⸻✅ 수어 유머는 ‘표정과 몸동작’이 핵심이에요✔️ 농인의 유머는 말장난이 아닌, 표정과 동작의 타이밍에서 나옵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실수를 슬로모션처럼 재현하거나, 동작을 반복하거나 과장하면서 웃음을 유도해요.✔️ 특히 눈, 입, 어깨, 팔 전체를 활용한 과장된 퍼포먼스가 큰 웃음을 줍니다.⸻✅ 상황극 형태의 유머가 많아요✔️ 농인은 일상 속 상황을 수어로 ‘극장처럼’ 재현하는 데 능숙합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졸다가 선생님과 눈이 마주친 상황을 재연하거나, 버스 놓친 장면을 표현하는 방식 등이 있어요.✔️ 또한 영화의 장면을 재현하는데 탁월합니다. 마.. 2025. 3. 30. 농인과 세상을 잇다, 어떻게? ⸻농인과 세상을 잇다, 어떻게?107손말이음센터를 소개합니다우리는 일상에서 수없이 전화를 걸고 받습니다.은행 업무를 보고, 병원에 예약을 하고, 친구에게 안부도 전하지요.하지만 **농인(여기서는 청각장애인도 포함)**에게 전화는 오랫동안 닿을 수 없는 세상과 같았습니다.그렇다면 농인은 어떻게 전화로 소통할 수 있을까요?농인이 청인에게, 청인이 농인에게도 자유롭게 전화할 수 있다면?그 가능성을 현실로 만든 곳이 있습니다.바로 손말이음센터입니다.⸻손말이음센터란?손말이음센터는 농인과 청인 간의 전화 소통을 중계해주는 공공 서비스 기관입니다.‘손말’은 손으로 하는 말, 즉 **수어(수화언어)**를 의미하고,‘이음’은 서로를 이어준다는 뜻을 가지고 있지요.농인이 수어 또는 문자로 전달한 내용을 중계사가 음성으로 .. 2025. 3. 29. 수어 통역과 실시간 자막, 어떤 차이가 있을까? – 화면 속 두 가지 소통 방식의 역할 수어 통역과 실시간 자막, 어떤 차이가 있을까? – 화면 속 두 가지 소통 방식의 역할TV를 보다 보면 자막도 나오고, 화면 한쪽에 수어 통역사도 보이는 경우가 있어요.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둘은 완전히 다른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수어 통역과 실시간 자막의 차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실시간 자막이란?✔️ 자막은 음성 언어(말)를 문자로 변환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방송이나 영상 콘텐츠에서 제공되며, 청각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시청자에게 유용하죠.✔️ 주로 방송사의 편집 과정에서 사전 제작된 콘텐츠에 삽입되기도 하고, 실시간 자막 시스템을 통해 생중계에도 활용됩니다.✔️ 방송 뉴스, 드라마, 예능뿐 아니라, 학교 수업, 강의실, 세미나 등에서도 실시간 자막이.. 2025. 3. 28. 국제수화는 세계 어디서나 통할까? – ‘국제 수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 국제수화는 세계 어디서나 통할까? – ‘국제 수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수어는 몸짓 언어니까, 전 세계 어디서나 통하지 않을까?”이건 수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하는 오해 중 하나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요!’ 수어는 나라별로 완전히 다른 언어이며, 국제수화(International Sign)는 제한된 상황에서만 사용되는 별개의 소통 방식입니다.이 글에서는 국제수화란 무엇인지, 그리고 각국의 수어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정리해볼게요.⸻✅ 수어는 ‘국제 공용어’가 아니다 – 각국마다 수어가 다릅니다✔️ 한국에는 ‘한국수어(KSL)’, 미국에는 ‘미국수어(ASL)’, 일본에는 ‘일본수어(JSL)’처럼 각 나라에 고유한 수어가 존재합니다.✔️ 수어는 ‘보편적인 손짓 언어’가 아니라, 해당 나라의 문화,.. 2025. 3. 27. 수어로 과거·현재·미래를 어떻게 표현할까? 수어로 과거·현재·미래를 어떻게 표현할까?한국어에는 시제가 분명하게 존재합니다. “했다”, “하고 있다”, “할 것이다”처럼 과거, 현재, 미래의 개념을 문법적으로 표현하죠. 그런데 수어는 어떨까요? 수어에는 시제가 없을까? 시간 표현은 어떻게 전달할까? 이 글에서는 수어에서 시간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수어에는 시간 단어와 맥락으로 표현✔️ 한국어에서는 ‘-았/었-’, ‘-고 있다’, ‘-겠-’ 같은 어미 변화로 시제를 표현합니다.✔️ 하지만 수어는 동사의 형태 변화 없이, 시간 관련 단어를 먼저 제시한 후 동작을 연결함으로써 시제를 나타냅니다.예:• “나는 아침 밥을 먹었다” → 수어: [아침] [밥] [먹다]• “지금 공부하고 있어요” → [지금] [공부하다]• “내일 여행 갈 거예.. 2025. 3. 26. 수어 표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신조어, 전문용어, 시대의 변화 속 수어의 진화 수어 표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신조어, 전문용어, 시대의 변화 속 수어의 진화우리는 매일 새로운 말을 접하며 살아갑니다. “유튜브”, “인싸”, “스마트폰”, “AI” 등 시대에 따라 언어는 계속해서 진화하죠. 그런데 수어는 어떨까요? 수어도 새로운 개념과 단어가 생기면 그에 맞춰 새로운 표현이 만들어질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습니다. 수어도 살아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단어가 생기면 수어는 어떻게 만들까요?✔️ 의미 기반으로 표현을 만들어요수어는 소리 중심의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철자나 음절을 따서 표현을 만들지 않아요. 대신 해당 단어가 가진 의미나 특징, 이미지를 바탕으로 손 모양과 동작을 정합니다.✔️ 형상화하거나 동작화.. 2025. 3. 25.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