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

자막이 있는데 왜 수어통역이 필요할까요? ⸻자막이 있는데 왜 수어통역이 필요할까요?TV 프로그램, 공공 행사, 온라인 강의 등 다양한 콘텐츠에서 자막이 제공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 덕분에 많은 사람들은 농인(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이 자막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런 질문을 종종 듣습니다.“자막이 있는데, 수어통역까지 꼭 필요한가요?”“글씨는 읽을 줄 아시잖아요?”이 질문은 아주 자연스럽고, 또 중요한 물음을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몇 가지를 차근차근 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글씨를 읽는 것과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다릅니다우리 모두 어릴때부터 성인까지, 10년 넘게 영어를 배웁니다. 영어 문장은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문장이 담고 있는 뉘앙스, 문화적 맥락, 문법적 구조.. 2025. 4. 19.
음성통역, 말 하나에 담긴 무게 — 수어통역사로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 음성통역, 말 하나에 담긴 무게 — 수어통역사로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수어통역사로 살아온 지 20년이 되었습니다.수많은 현장에서 다양한 통역을 경험했지만,그중에서도 여전히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통역이 하나 있습니다.바로 ‘음성통역’, 즉 농인의 수어를 한국어로 말로 전달하는 일입니다.⸻수어를 말로 옮긴다는 것많은 분들이 수어통역을 생각할 때,‘말을 손으로 옮기는 것’을 먼저 떠올리십니다.하지만 그 반대의 방향도 있습니다.농인이 수어로 표현한 내용을 청인(비장애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말로 전달하는 것,이것이 바로 음성통역입니다.단순히 손짓을 해석해서 말로 바꾸는 걸로 보일 수 있지만,실제로는 언어의 구조를 바꾸고, 상황에 맞는 어휘를 선택해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재구성하는 고난이도 작업입니다.⸻왜 음성.. 2025. 4. 18.
수어통역사의 통역 방식과 범위 수어통역사의 통역 방식과 범위‘수어통역사’는 단순히 손으로 말하는 사람이 아닙니다.그들은 농인과 청인 사이에서 언어와 문화, 감정과 상황을 조율하는 의사소통 전문가입니다.오늘은 수어통역사가 어떤 방식으로 통역을 수행하고, 어디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제가 직접 경험한 릴레이 통역 사례도 함께 소개드리려 합니다.1. 수어통역사의 통역 방식① 동시통역발화자가 말하는 동시에 수어로 통역하거나, 수어를 음성으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대규모 강연, 방송, 공연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빠른 이해력과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합니다.② 순차통역발화자가 말한 후 잠시 멈추면 그 내용을 수어로 옮기거나 반대로 수어를 음성으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상담, 의료 진료, 법률 상담처럼 정확성이 중요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025. 4. 17.
홈사인이라고 들어보셨나요? 홈사인이라고 들어보셨나요?일반적으로, 수어는 농인(청각장애인)들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정식 언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수어를 배우지 못한 채 성장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의사소통은 필요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독특한 몸짓 언어가 있습니다. 바로 “홈사인”입니다.홈사인의 정의홈사인은 공식적인 언어 교육을 받지 못한 농인(청각장애인)이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몸짓 기반의 의사소통 체계입니다. 쉽게 말해, 한 개인 또는 소수의 가족 구성원이 함께 쓰는 ‘사적’인 수어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는 언어적 자극이 부족한 환경에서 자란 농인(청각장애인)이 자연스럽게 개발한 것으로, 공식적인 수어와는 구별됩니다. 즉, 지역 사회나 공동체에서 .. 2025. 4. 16.
수어통역과 음성언어통역, 무엇이 다를까요? ⸻수어통역과 음성언어통역, 무엇이 다를까요?우리는 ‘통역’이라고 하면 흔히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주는 장면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통역에는 ‘수어통역’도 있다는 사실! 수어통역은 농인과 청인이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통역 방식으로, 단순히 음성을 수어로 바꾸는 것 이상으로 복잡하고 섬세한 작업입니다.그렇다면 수어통역과 음성언어통역은 무엇이 다를까요? 그 차이는 언어 자체의 양식에서부터, 통역 전략, 윤리적 역할, 교육 체계까지 매우 다양합니다.⸻1. 언어 양식의 차이: 시각 vs. 청각음성언어는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는 청각-음성 중심의 언어입니다. 반면, 수어는 손의 움직임, 얼굴 표정, 시선 방향 등을 활용하는 시각-공간 언어입니다. 말과 글처럼 선형적으로 흘러가는 음성언어와는 달리, 수어는 공간을.. 2025. 4. 15.
눈으로 듣고, 눈으로 말하는 사람들 – 농문화에서만 볼 수 있는 언어의 세계 눈으로 듣고, 눈으로 말하는 사람들 – 농문화에서만 볼 수 있는 언어의 세계우리는 흔히 ‘언어’라고 하면 귀로 듣고 말하는 음성언어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수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눈과 손, 몸 전체가 언어의 도구가 됩니다. 바로 그들이 살아가는 농문화(Deaf Culture) 속에는 오직 이 문화에서만 드러나는 독특한 언어와 표현 방식이 존재합니다.오늘은 농문화의 핵심 중 하나인 **‘시각 중심 언어’**의 특징과, 수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통하는 특별한 표현들을 소개해보려 합니다.⸻시각 중심 문화가 만들어낸 언어농인은 청각 대신 시각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익혀왔고, 이는 수어 표현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청인들이 “비가 온다”고 말할 때 수어 사용자들은 “비가 있다”고 표현..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