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 수어교육, 수어통역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에 관한 모든 것 대학1. 한경국립대학교 – 재활복지학부 한국수어교육전공(경기도 평택시)前재활복지대학교(평택)▶ 개설연도: 2002년▶ 학과 개요:농인과 농인의 언어 그리고 삶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투철한 사명감과 건전한 인격을 갖춘 유능한 한국수어교원과 수어통역사를 양성하는데 교육목적이 있다.▶ 교육과정: • 청각장애인의 이해 • 한국수어의 실제(초급, 중급) • 수어통역학 개론 • 한국수어교육학 • 한국수어회화 • 한국어의 이해 • 융합교육프로그램개발과 평가 • 음성통역, 필기통역 • 통역실습 • 한국수어교육과정 개발 • 한국수어어휘론 • 인성교육 및 상담▶ 홈페이지: 한경국립대학교2. 나사렛대학교 – 휴먼서비스학부 수어통역교육전공(충남 천안시)▶ 개설연도: 2005년▶ 학과 개요:수어통역교육전공은 국내뿐만 .. 2025. 3. 8. 수어를 배워서 할 수 있는 일 수어통역사하는 일: 농인과 청인의 가교 역할(청인의 말을 수어로 전달하고, 농인의 수어를 음성언어로 전달하는 두 가지 역할)분야: 방송, 법원, 병원, 경찰서, 공공기관, 학교 등 일상생활 전반수어통역사 자격 요건 및 시험국가공인 수어통역사(한국농아인협회 주관)시험절차: 1. 필기시험(연1회) 2. 실기시험(연1회) 3. 합격자 연수응시 자격: 제한 없음(연령, 학력 등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 참조https://slitt.deafkorea.com/sub_info/overview_info01.php (사)한국농아인협회 시험사이트(사)한국농아인협회 시험·교육 전문 홈페이지slitt.deafkorea.com공부 방법수어관련 대학, 학과에서 전공 수업 수강(대학에 관한 정보는 .. 2025. 3. 7. 수어를 배우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수어교육이나 홍보를 하다보면 많이 듣는 질문이 있다.“수어를 배우면 무엇을 할 수 있나요?”“봉사활동 같은 거 할 수 있나요?”새로운 언어로서의 재미와 도전입이 아닌 손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새로운 방식에 도전하는 것은 흥미롭고 창의적인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손동작, 얼굴 표정, 몸을 활용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수어를 배우면 소리를 내지 않고도 말(대화)을 할 수 있습니다.#상황1. 버스 안과 밖친구 두 명이 각각 버스 안과 버스 정류장에 서 있음.창문을 통해 수어로 “집에 도착하면 연락해!” 라고 이야기 함.- 창문을 열지 않아도 됨. 목소리를 내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 시키지 않아도 됨.#상황2. 지하철 안과 밖지하철이 출발하려는 순간, 플랫폼에 남은 친구가.. 2025. 3. 6. 수어는 어디에서 배울까요? 1. 농아인협회에서 배울 수 있어요.한국농아인협회를 비롯해 전국17개 시도 농아인협회와 산하 시군구 농아인협회가 있습니다. 또한 수어통역센터에서도 수어교육을 진행하는 곳이 있습니다.개설 시기는 협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학기가 시작되는 3월과 9월에 개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월 교육이 운영되는 곳도 있으니, 거주 지역의 농아인협회를 검색해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한국농아인협회 홈페이지전국 시·도 협회 현황 확인하기2. 수어교육원에서 배울 수 있어요.문화체육관광부 지정(3년마다 재심사) 한국수어교육원이 있습니다.강원특별자치도수어문화원(수어교육원)경기도수어교육원광주수어교육원세종수어교육원전남수어교육원충남수어교육원충북수어교육원또한, 서울특별시에서 지원하는 서울수어전문교육원도 있습니다. 각.. 2025. 3. 5. 농인이란?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으로서 농문화 속에서 한국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한다.(한국수화언어법 제3조 제2항) Q. 청각장애인과 농인은 같은가요?A. 청각장애인은 청력을 잃었거나 손상된 모든 사람을 지칭하며, 이는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청력 손실의 정도와 관계없이 포함됩니다.(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을 칭함)반면에, 농인은 이러한 청각장애인 중에서도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고, 농문화를 공유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청각장애인은 병리적 입장으로 보는 관점이며, 농인은 하나의 독립된 언어를 사용하며 독립된 공동체를 형성하며 살아가는 사회문화적 입장으로 보는 관점입니다. #관점의차이#청각장애인 Q. 그럼, 모든 청각장애인이 수어를 쓰는 건 아니겠네요?A. 맞습니다. 청각장애인은 수어.. 2025. 1. 31. 한국수어란? 대한민국 농문화 속에서 시각, 동작 체계를 바탕으로 생겨난 고유한 형식의 언어를 말한다.(한국수화언어법 제3조 제1항) 수어? 수화? 무엇이 맞는 말일까요? 정답은 둘 다 맞는 말입니다.2016년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수화‘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2016년 법 제정을 위한 용어 관련 설문조사에서 ’수어’, ‘수화’ 어느 용어가 적절한지에 대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 ‘수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응답이 우세하여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수어 = 한국수화언어한국어(韩国语) 영어(英语) 일본어(日本语) 。。。 수어(手语)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처럼 수어도 하나의 독립된 언어이므로 ‘수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언어로서의 정체성을 인정받는 데 도.. 2025. 1. 31. 이전 1 ··· 5 6 7 8 다음